2번 주문하면 1만원 할인 내세웠더니… 깜짝 결과

배달앱 ‘땡겨요’의 이용 금액이 가파르게 증가하며 업계 3위인 ‘요기요’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26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땡겨요의 주간 신용카드 결제 금액(보정치)은 가장 최근인 이달 12~18일 기준 14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4% 증가했다. 반면 요기요 결제 금액은 같은 기간 125억원으로 42% 급감해 업계 4위로 밀려났다.

땡겨요는 신한은행이 2022년 1월 선보인 민관 협력형 배달앱이다.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소상공인과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전략으로 이용자를 빠르게 늘려가고 있다.

'2번 주문하면 1만원 할인' 내세웠더니…'깜짝 결과'

신한은행, ‘땡겨요’ 전폭지원… 시장 뒤흔든 공공배달앱
서울 무료배달 앞세운 ‘쿠팡이츠’… 신한은행이 운영하는 ‘땡겨요’

한때 ‘배달의민족’(배민)과 ‘요기요’가 90% 이상을 점유하던 배달앱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쿠팡이츠’는 무료 배달 서비스를 앞세워 올해 들어 서울 지역 1위로 올라섰고, 2022년 출범한 ‘땡겨요’는 민관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최근 요기요를 제쳤다.

◇‘파죽지세’ 쿠팡이츠·땡겨요

26일 대체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배달앱 시장 2위인 쿠팡이츠의 서울 지역 신용카드 결제 금액(보정치)은 지난달 2216억원이었다. 상위 4개사의 합산 결제 금액 4571억원의 절반에 가까운 49% 점유율로 전국 1위 배민(47%)을 앞질렀다.

쿠팡이츠는 지난해 3월 도입한 멤버십 회원 대상 무료 배달 방침을 바탕으로 올해 초부터 서울에서 배민을 앞서기 시작했다. 전국 점유율은 37.6%로 아직 배민(56.7%)에 미치지 못하지만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 지난달 쿠팡이츠의 전국 카드 결제 금액은 682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6% 급증했다.

땡겨요는 3위 경쟁에서 요기요를 앞서기 시작했다. 이달 12~18일 전국 주간 신용카드 결제 금액은 14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34% 폭증했다. 같은 기간 요기요는 125억원으로 42.2% 급감해 4위로 밀려났다. 지난달 기준 점유율은 땡겨요가 2.3%로 여전히 요기요(3.4%)에 못 미치지만 수개월 내 월간 점유율에서 역전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원도와 충청도 등에서는 이미 우위를 점했기 때문이다.

쿠팡이츠와 땡겨요의 약진으로 시장은 6년 전과 완전히 다른 경쟁 구도로 재편되고 있다. 쿠팡이츠가 출범한 2019년 당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배민은 그해 거래액 기준으로 시장의 78%를 차지했다. 요기요는 19.6%였다. 배민은 독일 딜리버리히어로가, 요기요는 GS리테일 컨소시엄이 운영하고 있다. 쿠팡이츠는 국내 최대 e커머스 기업 쿠팡이, 땡겨요는 신한은행이 운영 중이다.

◇‘민관 협력’ 모델의 급성장 주목

배달앱 시장에선 땡겨요가 주도하는 ‘민관 협력’ 기반 사업 모델의 급성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자체의 선택적 지원이 이어지면 기존 선두 업체가 점유율과 수익성을 모두 방어하기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공공 배달앱은 소상공인의 플랫폼 수수료 부담을 낮추기 위해 지자체가 민간 업체와 협력하거나 직접 개발·운영하는 서비스다. 중개 수수료가 2% 이하로 저렴하고 ‘광고료 무료’ 등의 요건을 갖추면 예산을 지원받을 수 있다. 서울시를 비롯한 여러 지자체가 외식업 경쟁력 강화와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개척 등을 명목으로 공공 배달앱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 일정 금액 이상 주문 시 할인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신한은행이 운영하는 땡겨요는 이런 지원에 힘입어 초창기 2만원 이상 세 번 주문 시 1만원 쿠폰을 제공하다가 지난 8월부터는 ‘2만원 이상 두 번 주문’으로 발급 조건을 완화했다. 그 결과 회원이 23일 기준 697만 명으로 올해 들어 69.4% 늘었고, 입점 가맹점(28만 곳)도 46.5% 증가했다. 전성호 신한은행 땡겨요사업단 대표는 “앞으로 2~3년이면 손익분기점을 넘길 것”이라며 “그때부터는 벌어들인 이익을 소상공인을 위해 재투자하는 사업 구조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공공 배달앱 성장이 궁극적으로 서비스 품질과 혁신 저하를 초래할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자유기업원은 “공공 배달앱은 민간의 경쟁 질서를 왜곡하고, 세금에 의존한 운영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민간의 혁신 동력을 약화하고 소비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태호/김진성 기자 thlee@hankyung.com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